|
"FUN=EAD"
전기기사 교재나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등기구수 구할 때 사용하는 공식입니다.
유명한 빈출 공식임에도 불구하고, '○○○의 법칙' 이나 '○○의 공식'처럼 딱히 멋있는(?) 이름은 없네요.
주로 전기기사 실기시험에서 조명설비의 등기구수나 조도 등을 구할 때 많이 쓰이고요,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맞춰 각 변수들을 좌변, 우변으로 이항 시킨 후 주어진 숫자값들을 대입하여 계산을 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공식을 암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존재하는데, 그 중 제가 알고 있는 암기법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미 많이 알려진 방법이지만,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몇 줄 포스팅을 해 봅니다.😆
(!) 본 암기법은 지극히 제 개인적인 방법이므로, 단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암기가 되신 분은 본 포스팅을 볼 필요가 없습니다.
시간 낭비 말고 다른 중요한 공부를 하시길 바랍니다. 패스~! 😅
= =
'FUN=EAD' 공식의 우변에서 'A'와 'E'의 위치를 서로 바꿉니다.
그러면 'FUN=AED'가 됩니다.
FUN=AED
좌변 'FUN'은 영어사전에 '재미있는, 즐거운'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우변 'AED'는 발음 그대로 '아이들'이라고 읽습니다.
그래서 'FUN=AED'는 '즐거운 아이들' 또는 '재미있는 아이들'이라고 암기할 수 있습니다.
암기를 위한 스토리텔링을 추가하면,
해가 저물고 날이 어두워졌습니다.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은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뭐가 그리 좋은지 열심히 뛰어다니며 마냥 즐겁기만 합니다.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어두운 놀이터에 밝은 조명이 필요합니다.
가로등 조명은 과연 몇 개를 설치해야 할까요?
즐거운(FUN) 아이들(AED)을 위해서..
재미있는 아이들!
공식 암기는 이 정도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F가 뭔지, E가 뭔지, D가 뭔지 모른다면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없겠죠?
F, U, N, A, E, D.. 그리고 D와 역수관계인 M(보수율)에 대해서, 각 알파벳들이 무엇을 뜻하는지 간단히 정리를 해 봅니다.
= =
■ F
F는 광속(lm)을 의미합니다.
'Luminous Flux'라는 용어에서 'F'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광속은 빛이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위면적을, 단위시간당 지나가는 빛의 양입니다.
단위는 루멘(Lumen)이고요.
정의는 뭐 그렇다치고, 'F'가 뜻하는 'Flux(플럭스)'라는 단어가 영 쉽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제 기준으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자주 쓰는 단어는 아니네요.
그렇다면 이런 방법은 어떨까요?
'광속'의 '속'이라는 글자에 주목합니다.
'속'하면 '속도', 속력' 뭐 이런 단어들이 떠오릅니다.
속도가 '빠르다'를 영어로 표현하면 'Fast'라는 단어가 떠오르는데, 바로 'Fast'의 'F'를 이용해 '광속'의 '속'과 연관지어 암기를 합니다.
'F' → Fast → (빠른)속도 → 속 → 광속
■ U
U는 조명률을 의미합니다.
알파벳 'U'를 어느 영어 단어에서 가져왔는지는 찾지 못했습니다. 굳이 찾을 필요도 없고요. 😅
조명률은 사전에 [광원의 광속에 대한 작업면에서의 광속의 비]라고 합니다.
음..
보통 'A에 대한 B의 비'라고 하면, 분수로 'A분의 B'로 나타냅니다.(B/A)
위에서 'F'를 설명할 때 광속은 '빛의 양'이라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광원에서 빛을 '100'이라는 양 만큼 보냈는데, 작업면에서는 빛이 '60' 만큼만 도착했더라..하는 효율의 개념인 것 같습니다.
전기기사 시험문제에서 조명률은 주로 퍼센트(%) 값으로 주어집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U자 모양의 램프(조명)에 불이 켜져 있습니다.
U(유)의 발음과 U자 모양의 램프에 불이 켜진 이미지맵을 이용하여, U는 조명율(률)이라는 것을 암기합니다.
■ N
N은 등기구수를 의미합니다.
N은 갯수, 숫자를 뜻하는 'Number'의 'N'이라고 기억하면 쉽습니다.
■ A
A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면적을 뜻하는 영어 단어 'Area'에서 'A'를 가져왔습니다.
일부 교재에서는 'A' 대신 'S'(Surface)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 E
E는 조도(lx)를 의미합니다.
조도는 단위면적당 입사하는 빛의 양을 뜻하는데요, 단위는 '럭스'(lux) 또는 '룩스'를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알파벳 'E'가 한글 '도'자로 변신(?)하는 과정을 나타내었습니다.
알파벳 'E'가 '도'로 변화하는 모습을 참고하여, 알파벳 'E'는 '도'자로 끝나는 것과 관계가 있구나.. 이렇게 조도와 연관지어 암기를 합니다.
■ D
D는 감광보상률을 의미합니다.
감광보상률은 조명기구의 사용시간이 경과할수록 노후화, 표면오염 등으로 조도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기구가 수명을 다 할 때까지 일정 조도를 유지할 있도록 미리 여유분을 더 주어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1'보다 큰 수로 나타냅니다.
사람으로 치면, 나중에 배고플 것에 대비해 '미리 많이 먹어둔다' 라고 할 수 있죠.
미련 곰탱이 같은 짓이긴 한데, 아무튼 미리 밥을 많이 먹으면 배가 불룩하게 튀어나옵니다.
위의 사진에서 배가 불룩 튀어나온 모양이 바로 알파벳 'D'와 비슷합니다.
따라서 알파벳 'D'는 사람의 배가 불쑥 튀어나온 것과 연관지어, '미리 먹어둔다', '미리 보상을 해준다'라는 뜻으로 감광보상률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억합니다.
■ M
M는 보수율(유지율)을 의미합니다.
일부 교재에서는 감광보상률(D) 대신 보수율(유지율, M)로 공식을 표현하기도 하는데요, 감광보상률과 역수 관계입니다.
즉, 'FUN=AED'에서 'D'대신에 '1/M'을 넣으면 됩니다.
문제에서 감광보상률 대신 보수율(유지율)로 값이 주어질 수 있으니, 공식 사용에 있어서 유의를 해야합니다.
'보수(유지)'라는 단어가 있으므로, 즐거운 아이들이 노는 놀이터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아래 이미지의 맨 왼쪽 그림을 보면, 한 아이(AE)가 놀이터 구름다리 위에서 즐겁게(FUN) 놀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리 중간이 뚝! 부러지면서 아이가 넘어져 울고 있네요. (가운데 그림)
구름다리가 부러진 모습이 마치 알파벳 'M'과 같습니다.
그 부러진 다리(M)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그 위에 튼튼한 다리를 하나 더 놓습니다. (세번째 그림)
마지막 세번째 그림처럼, 부러진 다리(M) 위에 아이가 서 있는(1) 모습을 통해 보수율(1/M)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꿈:틀, In Space」에 있습니다.
아이디어 도용, 무단복제와 인용을 금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