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계 소화약제 관련 계산문제에서 CO₂, O₂ 체적/농도 계산 공식이 자주 출제가 됩니다.
문제 조건에 따라 적용하는 공식이 다 달라서 암기하기가 헷갈리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소(O₂) 농도가 주어질 경우 이산화탄소(CO₂) 방출 후의 실내 이산화탄소 체적(m³)구하는 공식을 암기해 봅니다.
공식 자체는 단순하지만, '체적'을 구하는 경우와 '농도'를 구하는 경우 공식이 약간씩 변형되기 때문에 공식을 잘못 적용해 계산 자체가 틀릴 우려가 많습니다.
물론 공식을 유도해서 문제를 풀 수도 있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그럴만한 충분한 시간이 없기 때문에 최종 결과 공식을 바로 암기해서 푸는 것이 최선입니다.
= =
이산화탄소의 화학기호 CO₂에서 'C(씨)=시', '체적'의 '체' 그래서 메인 키워드는 '시체' 입니다.
'좀비 시체의 두 다리를 도끼날(V)로 찍어 자른다'
😱!!!
좀 공포스럽나요? 😅
이것저것 따질 필요없이, 위의 문장을 이미지로 만들어 기억하면 헷갈리지 않고 쉽게 공식을 암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통해 그 방법을 알아보실까요? 😅
※ 부연설명
1)
O₂ 는 산소(O) 원소가 2개 있으므로 풀어서 'OO'라고 표시할 수 있으며, 양 옆으로 길게 늘려서 '두 다리' 모양으로 만들 수 있음
2)
두 다리의 중간을 도끼날(V)로 찍으면 잘려진 다리가 테이블 아래(분모)로 떨어짐. 즉, 공식에서 분모의 자리에 산소 2개(OO=O₂)가 위치함을 알 수 있음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꿈:틀, In Space」에 있습니다.
아이디어 도용, 무단복제와 인용을 금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